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y Record22

[잡지식 #5] 깨진 유리창 이론 (Broken Windows Theory) -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 ( Broken Windows Theory )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이란 무엇일까? 깨진 유리창 이론은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월슨(James Q. Wilson) 과 조지 켈링(George L. Kelling)이 발표한 글에 처음으로 소개된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이다.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한다는 이론이며 해당 이론을 소개한 글의 두 저자들은 이렇게 이야기 했다 한다. "만일 한 건물의 유리창이 깨어진 채로 방치되어있다면 다른 유리창들도 곧 깨어질 것이라는 데 대해 사회심리학자들과 경찰관들은 동의하곤 한다. 이런 경향은 잘사는 동네에서건 못사는 동네에서건 마찬가지이다. 한 장의 방치된 깨진 유리창은.. 2019. 8. 11.
[Android] 안드로이드_액티비티(Activity) 생명주기(라이프사이클)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생명주기에 대해 공부하다가 아래 블로그를 발견했는데 아주 정리가 잘되어있는거같아 가져왔다. (두고두고 보자) 출처: https://unikys.tistory.com/276 [All-round programmer] (정리가 잘 되어있는 블로그가 있기에 담아둔다 - 출처는 철저히!) 이 블로그 말고도 API 사이트에 정리가 되어있긴하다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activities * Activity 라이프 사이클 : 사용자가 앱을 시작하고 앱 안에서 앞으로 뒤로 이동하고 다른 앱을 실행하는 등의 행위를 컨트롤하는 것이 바로 Activity이다. 이러한 Activity는 처음 시작할때, 전면에 나와서 사용자의 포커스를 받는 등의 다.. 2019. 8. 10.
[#경험담] 2019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1회차 합격 후기 회사를 다니면서 사이버학교까지 다니면서 병행한 결과 합격을 했다!! 점수는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합격만 하면 장땡이라 생각한다. 시험 배점은 다음과 같은데 실무 알고리즘 응용 - 25 데이터베이스 실무 응용 - 25 업무 프로세스 실무 응용 - 15 IT 신기술 동향 및 시스템 관리 - 25 전산 영어 실무 - 10 역시 합격 전략은 아무리 생각해도 실수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 실무, 업무 프로세스 실무 이 세개를 다 맞는게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다 실무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는 전공자는 그냥 좀 공부하면 될것이고 비전공자 역시 쉽게 암기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업무 프로세스 또한 보통은 지문에 답이 있는경우의 문제형식이 많고 아니더라도 나왔던 답안중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기에 범위도 넓지않고 그냥 달.. 2019. 5. 22.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이란? 크로스 브라우징 (Cross Browsing) 크로스 브라우징은 W3C에서 채택된 표준 웹 기술을 적용해 모든 브라우저에 다른 기종의 OS나 HTML 렌더링 기술로 비슷하게 만들어 어떤 환경에서도 이상없이 작동되게 하는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론이다. 쉽게 말하자면 익스플로러에서 이용할 수 있던 사이트가 크롬이나 오페라에서는 보이지않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크로스브라우징을 이용하여 다양한 브라우저를 이용하더라도 사이트를 100%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서 오해를 하지 말아야 하는 부분은 '모든 브라우저에서 똑같이 보이게 하는 것' 이라는 부분이다. 흔히 검색을 해보면 이렇게 나오는데 잘못된 것이라 한다. "크로스 브라우징은 동일성이 아니라 동등성(등가성)을 의미한다." 한국소프트.. 2019. 4. 18.
[#경험담] 2019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후 실기 준비 1회차 필기에 합격했다!!! (물론 가채점...) 앞서 두꺼운 시나공 책을 잘못사고 5년치 기출만 달달 풀었더니 합격은 하였다. 내년부터 시험이 바뀐다니 1회차에 전부 끝내는게 목표다 (필기 과목 개편) *2019년 필기 및 실기 시험일정 가채점에서 합격하였으니 바로 준비해 보았다. 바로 책을 구매해서 준비하는 중이다 시간이 없어 매일 공부할수는 없는데 어찌됐건 도전을 해보도록 한다. 실기 과목과 배점은 다음과 같다 실무 알고리즘 응용 - 25 데이터베이스 실무 응용 - 25 업무 프로세스 실무 응용 - 15 IT 신기술 동향 및 시스템 관리 - 25 전산 영어 실무 - 10 그래도 다행인건 예전 산업기사 땄을때 실기 합격률이 20퍼였었는데 이번에는 40~50퍼를 왔다갔다 하는거보아하니 쉬워졌나싶다 일단.. 2019. 3. 11.
[잡지식 #4] 샐리의 법칙( Sally's law ) - 계속해서 바라던 일이 일어난다. 샐리의 법칙 (Sally's law) 샐리의 법칙(Sally's law)란 무엇일까? 샐리의 법칙의 뜻은 다음과 같다. " 계속해서 자신이 바라던 대로 일이 일어난다. " 1989년 미국영화 (When Harry Met Sally) 에서 유래되었는데 다들 알고있는 머피의 법칙(Murphy's law)과 반대되는 용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쉽게말해서 이상하게 일이 잘 풀려 모든일이 순조롭게 흘러간다 라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실생활에서의 예를 들자면 - 출근길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자마자 버스가 왔다. - 집으로 돌아가는길 배가고파 지쳤는데 가족들이 삼겹살을 굽고있다. - 직장에 지각했는데 마침 자리에 상사가 없다. - 집에서 평소보다 늦게 출발했는데 오히려 일찍 출근하였다. 예시는 무궁무진 하겠죠? 우리한테도.. 2019. 3. 10.
[잡지식 #3] 머피의 법칙( Murphy's law ) - 되는 일이 하나도 없는 상황 머피의 법칙 (Murphy's law) 머피의 법칙(Murphy's law)이란 무엇일까? 머피의 법칙은 어떤 일이 잘못되어 가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서양에서 흔히 사용되는 말입니다. 1949년에 미국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근무하던 에드워드 머피 대위가 어떤 일을 하는 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그 가운데 한 가지 방법이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면 누군가 꼭 그 방법을 쓴다." 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즉, 하려는 일이 항상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만 진행되는 현상을 이르는 말입니다. 실생활 에서의 예를 들어보자면 - 시험을 위해 열심히 공부했지만 공부하지 못한 부분에서만 문제가 나온다 - 자주 오던 버스가 내가 기다리면 죽어도 안온다. - 주사위를 굴릴때 6개중 어떤 숫자 하나만 나오지 말았.. 2019. 3. 8.
[잡지식 #2] 사피어 워프 가설 - 언어가 인간의 사고를 규정한다 사피어-워프 가설 [ Sapir-Whorf hypothesis ] 인류학자인 사피어(Edward Sapir)와 언어학자인 워프(Benjamin Whorf) '언어가 인간의 사교를 규정한다' 라고 최조로 주장한 학자 사피어와 워프 입니다. 제가 처음에 이 문장을 접하게 된건 영화 '컨택트' 덕분입니다. 그래서 한번 검색해 보면서 더 자세히 알아보고 개인적으로 정리하고자 쓰는 내용입니다. (제가 굉장히 잡지식을 좋아하기 때문에...) 혹여 영화를 안보신분들은 추천드리는 영화입니다. 기본적으로 사피어 워프 가설을 깔고 가는 영화이기 때문에 . . . 암튼! 사피어 워프 가설관련 자료를 찾아보다가 재미있는 글귀를 발견했는데요 오글거린다는 단어가 생기면서 사람들에게서 감성이 사라졌고 선비라는 말이 나오면서 절제하.. 2019. 3. 4.
[DATABASE] RANK OVER() || ROW_NUMBER() 둘의 차이 -RANK() OVER SELECT score, RANK() OVER(ORDER BY score DESC) rank, name FROM oracleStudy scroe rank name 100 1 HAN 90 2 KIM 90 2 PARK 50 3 HO -ROW_NUMBER() OVER SELECT score, ROW_NUMBER() OVER(ORDER BY score DESC) rank, name FROM oracleStudy scroe rank name 100 1 HAN 90 2 KIM 90 3 PARK 50 4 HO rank() over 와 row_number() over 의 큰 차이점은 rank() over 는 중복 숫자를 부여하고 row_number() over 는 중복 숫자를 부여하지 않는다(순.. 2019. 2. 25.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