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it19

[GIT] .env에 대해 .gitignore이 먹히지 않을때 .env파일을 가지고 작업을 하는데 분명 .gitignore에 선언을 해뒀음에도 불구하고 자꾸 git status를 하면 눈에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env파일이 이미 원격 저장소에 푸시가 되어있는 상황이라서 그렇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원격 저장소의 .env파일을 지우면 되는것이다 git rm .env --cached git commit -m "remove .env file from git repo" git push 보통 원격 저장소에는 .env파일을 직접 올리지 않고 .env.example 같은 형식으로 다르게 올려서 공유하고는 한다. 그리고 위에서 입력한 rm .env --cached 명령어를 통해서는 로컬에 있는 파일이 지워지지 않으니 걱정할 필요 없다. 캐시 지우고 > 커밋.. 2023. 2. 22.
[GIT] Github에서 Pull Request 승인 절차 추가하여 코드 리뷰하기 Set Github Pull Request Approve 깃허브에는 참여 인원이 승인(Approve)을 해야 Pull Request 머지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이 방법을 통해 "몇 명 이상의 코드 리뷰를 통과해야 한다"라는 내부적으로 룰을 만들어도 좋을 듯하다. 아직 본격적으로 코드 리뷰 문화가 잡히지 않은 곳에서 처음 시도하기에도 괜찮다고 생각이 든다. 우선 Approve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깃허브 Approve 설정하기 자 우선 승인 절차를 만들어보자. 위 이미지처럼 프로젝트의 [Settings]를 먼저 들어가 주도록 하자. 그리고 좌측에 [Branches] 탭이 존재할 텐데 눌러주면 위 화면처럼 "Branch protection rules"라고 나올 것이다.. 2023. 2. 16.
[GIT]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예전에 git으로 연결해 둔 프로젝트를 가지고 작업을 좀 하다가 git push origin으로 원격 저장소에 push를 하던 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fatal: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 에러 메시지는 origin이라고 명시된 원격 저장소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다. 해결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다시 연결을 해주면 끝이다. 현재 원격 저장소 연결 상태 확인하기 우선 현재 git을 사용하고 있는 위치에서 원격 저장.. 2023. 2. 10.
[GIT] 잘못된 Pull Request 머지 하기 전에 수정하기 Git Pull Request 수정하기 협업을 하고 있다면 Git Pull Request를 통해 진행하고 있을 텐데, 만약 PR을 날린 뒤에 리뷰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미흡한 부분들이 발견되어 수정하라고 결과가 나왔을 때 단순히 Close 하는 게 아니라 날린 Pull Request를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첫 번째 방법으로는 commit을 덮어 씌운 다음 push -f 옵션으로 해당 브랜치에 다시 밀어 넣는 방법이다. 1. Pull Request 날리기 이런 식의 Pull Request를 날렸다고 가정하자. 오타를 확인 못하고 Pull Request를 날려 이 오타를 수정하고 싶다. 2. 로컬에서 수정 후 git commit --amend를 통해 commit 덮어쓰기 3. git push.. 2023. 2. 6.
[GIT] 원격 브랜치 삭제하기 (delete remote branch) 원격 브랜치 삭제하기 상황에 따라 로컬 브랜치뿐만 아니라 원격 브랜치 역시 지워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로컬 브랜치 사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자. https://mine-it-record.tistory.com/648 [GIT] 깃(Git) 브랜치(Branch) 사용하기 (ft. 조회/생성/이동/삭제/병합) git branch git을 사용하게 되면 가장 많이 듣는 게 브랜치라고 생각된다. 쉽게 설명하자면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게 브 mine-it-record.tistory.com 원격 브랜치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 git push [remote] --delete [branch] git push .. 2023. 2. 6.
[GIT] 실수로 날려버린 Stash 복구하기 삭제된 Git stash 복구하기 [GIT] 깃(Git) 스태시(stash) 사용하기 - 변경된 내용 임시 저장하기 [GIT] 깃(Git) 스태시(stash) 사용하기 - 변경된 내용 임시 저장하기 git stash git stash는 무엇일까? git stash는 파일의 변경 내용을 일시적으로 기록해두는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현업에서 git을 사용하다 보면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게 git stash라고 mine-it-record.tistory.com git stash는 위 링크에서 설명한 것처럼 변경된 내용을 임시로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한다. 보통 특정 branch에서 작업을 하다가 일의 우선순위가 밀리거나 급하게 다른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 현재 작업하고 있는 내용을 커밋할 수.. 2023. 1. 28.
[GIT] Fork 없이 Pull Request 사용하기 왜 pull request를 위해 fork를 먼저 해야 하는 걸까? 왜 Pull Request를 검색하면 Fork를 우선적으로 하는 내용들만 나올까? 우선 공식문서에서 GitHub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글을 읽어보자. 6.2 GitHub - GitHub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Git - GitHub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Pull Request는 보통 공개 프로젝트에서 사용한다. 기여자는 수정하고 나서 원 저장소에 Pull Request를 연다. 개발 초창기에는 프로젝트 내부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이미 Pull Request를 열어 놓은 토픽 git-scm.com 뭐 지금 당장 읽을 필요는 없어도 나중에 한 번쯤은 읽어보길 권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저장소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경우 for.. 2023. 1. 4.
[GIT] 깃(Git) 참조 로그(reflog)란? (ft. 커밋 취소 복구하기) git reflog git reflog란 무엇일까? 여기서 reflog는 reference log를 의미한다. 즉, 제목에서 쓰인 것처럼 참조 로그를 말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력이라고 해서 모든 사소한 이력을 기록하는 게 아니라, 이전에 HEAD가 가리키고 있었던 내용들을 전부 기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명령어로 인해 가리키고 있던 HEAD의 포인터가 변경될 때마다 저장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git reflog 그렇다면 이 git reflog를 통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일단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git reset --hard 옵션을 통해 날려버렸던 내용들을 다시 복구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말 그대로 커밋 취소를 취소한다(?) 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그 외에 브랜치를 복구한다거나.. 2022. 10. 19.
[GIT] 깃(Git) 커밋(Commit) 취소하기 (ft. amend/reset/revert) GIT을 사용하다 보면 커밋을 덮어쓰거나(amend), 취소하거나(reset), 되돌려나(revert)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각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git add 취소하기 제목이랑 좀 연관이 없을 수 있는데, 그래도 commit을 하기 위해서는 add를 먼저 해야 하기 때문에 add 취소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현재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git은 친절하게도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을 해주고 있다. 현재 git staged 상태의 a.txt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git restore --staged 을 입력하라고 안내하고 있으며, staged area에 없는 b.txt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git restore 을 입력하라고 쓰여있다. 여.. 2022. 10. 19.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