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6

[Lodash] 배열 중복 제거하기 (ft. uniq, uniqBy, union, unionBy) uniq lodash에서 제공하고 있는 uniq() 메서드의 경우 단순하게 여러 개의 동일한 값을 가지고 있는 배열의 중복 데이터를 제거한다. // _.uniq(array) const arr1 = [1,1,1,3,3,4,5,2,6,4,7] console.log(_.uniq(arr1)); // [1,3,4,5,2,6,7] uniqBy 아마 사용하게 된다면 위에서 설명한 uniq메서드보다는 uniqBy 메서드를 좀 더 많이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uniqBy() 메서드는 "중복을 구분할 속성"값을 두번째 인수로 사용이 가능하다. // _.uniqBy(array, identity) const search = [ { id: 12, title: 'testest', name: 'jack', age: 26}, {.. 2023. 2. 22.
[Lodash] Lodash란? Lodash Lodash는 개발을 하다 보면 한 번쯤은 들어보거나 접해볼 수밖에 없는 Javascript의 인기있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나 역시 Lodash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던 때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검색을 하다 보면 자연스레 알게 되었다. Lodash는 배열, 숫자, 객체, 문자열 등으로 작업할 때 번거로움을 없애고 쉽게 다룰 수 있게끔 하는 데 사용된다. 그렇기에 보통 Lodash는 유틸용 라이브러리라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하나 알아둬야 할게 Lodash를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꼭 좋기만 한 건 아니다. https://measurethat.net/Benchmarks/Show/6534/1/lodash-vs-es6-in-find-method Benchmark: lodash vs es6 in.. 2023. 2. 21.
[GIT] Github에서 Pull Request 승인 절차 추가하여 코드 리뷰하기 Set Github Pull Request Approve 깃허브에는 참여 인원이 승인(Approve)을 해야 Pull Request 머지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이 방법을 통해 "몇 명 이상의 코드 리뷰를 통과해야 한다"라는 내부적으로 룰을 만들어도 좋을 듯하다. 아직 본격적으로 코드 리뷰 문화가 잡히지 않은 곳에서 처음 시도하기에도 괜찮다고 생각이 든다. 우선 Approve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깃허브 Approve 설정하기 자 우선 승인 절차를 만들어보자. 위 이미지처럼 프로젝트의 [Settings]를 먼저 들어가 주도록 하자. 그리고 좌측에 [Branches] 탭이 존재할 텐데 눌러주면 위 화면처럼 "Branch protection rules"라고 나올 것이다.. 2023. 2. 16.
[NuxtJS] 미들웨어(middleware) 사용하기 미들웨어(Middleware) NuxtJS의 라이프 사이클을 보면 nuxtServerInit 다음에 Route Middleware라는 녀석이 있다. 여기서 미들웨어면 미들웨어지 왜 "라우트 미들웨어"라는 명칭을 사용하냐면 NuxtJS에서는 서버 미들웨어와 라우트 미들웨어 두 종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들웨어라는 명칭보다는 라우트 미들웨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듯 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NuxtJS에서 미들웨어라 하면 라우트 미들웨어를 지칭하기 때문에 그냥 미들웨어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NuxtJS에서 미들웨어는 크게 익명 미들웨어(Anonymous Middleware)와 네임드 미들웨어(Named Middleware)로 나뉜다. 익명 미들웨어(Anonymous Middleware) 익명 미들웨어는 특정.. 2023. 2. 14.
[GIT]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예전에 git으로 연결해 둔 프로젝트를 가지고 작업을 좀 하다가 git push origin으로 원격 저장소에 push를 하던 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fatal: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 에러 메시지는 origin이라고 명시된 원격 저장소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다. 해결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다시 연결을 해주면 끝이다. 현재 원격 저장소 연결 상태 확인하기 우선 현재 git을 사용하고 있는 위치에서 원격 저장.. 2023. 2. 10.
[GIT] 잘못된 Pull Request 머지 하기 전에 수정하기 Git Pull Request 수정하기 협업을 하고 있다면 Git Pull Request를 통해 진행하고 있을 텐데, 만약 PR을 날린 뒤에 리뷰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미흡한 부분들이 발견되어 수정하라고 결과가 나왔을 때 단순히 Close 하는 게 아니라 날린 Pull Request를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첫 번째 방법으로는 commit을 덮어 씌운 다음 push -f 옵션으로 해당 브랜치에 다시 밀어 넣는 방법이다. 1. Pull Request 날리기 이런 식의 Pull Request를 날렸다고 가정하자. 오타를 확인 못하고 Pull Request를 날려 이 오타를 수정하고 싶다. 2. 로컬에서 수정 후 git commit --amend를 통해 commit 덮어쓰기 3. git push.. 2023. 2. 6.
[GIT] 원격 브랜치 삭제하기 (delete remote branch) 원격 브랜치 삭제하기 상황에 따라 로컬 브랜치뿐만 아니라 원격 브랜치 역시 지워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로컬 브랜치 사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자. https://mine-it-record.tistory.com/648 [GIT] 깃(Git) 브랜치(Branch) 사용하기 (ft. 조회/생성/이동/삭제/병합) git branch git을 사용하게 되면 가장 많이 듣는 게 브랜치라고 생각된다. 쉽게 설명하자면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게 브 mine-it-record.tistory.com 원격 브랜치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 git push [remote] --delete [branch] git push .. 2023. 2. 6.
[VueJS] Deep Selectors 사용하여 자식 컴포넌트의 스타일 정의하기 자식 컴포넌트 스타일 정의하기 VueJS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 스타일 캡슐화를 사용하여 각 컴포넌트별로 어떤거를 사용해도 상관은 없지만 첫 번째 방식의 경우 Sass 같은 전처리기에서 인식이 안된다 한다. 그럼에도 ::v-deep 방식을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v-deep 역시 Vue 3에서는 사용방법이 바뀌었으니 Vue버전을 변경한다면 주의해야 한다. Vue3 버전에서는 v-deep을 다음과 같이 사용하라고 github 문서에 나와있다. ::v-deep(.bar) {} 스택오버플로우를 살펴보면 vue 2.7 이상에서는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공식문서를 살펴보니까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도 사용한다. :deep(.bar) {} 실제로 Vue 3 환경에.. 2023. 1. 30.
[VueJS] 믹스인(Mixins) 사용하기 Mixins VueJS를 사용하게 되고 규모가 점차 커진다면 한 번쯤은 접해볼 수밖에 없는 믹스인(Mixins)에 대해 알아보자. 믹스인(Mixins)은 여러 컴포넌트 간에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직, 기능들을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Composition API의 등장으로 믹스인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래서 이 글은 Vue3 버전을 사용하지 않으며, Composition API를 사용하지 않고 Composition API를 사용함에도 믹스인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만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아 물론 Vue3의 안정화가 이미 이루어 졌지만 아직은 우리나라에서 Vue3가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듯 하니 알아두면 좋다.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Vue의 속성중에 mixins.. 2023. 1. 29.
반응형
TOP